새소식

인기 검색어

공부/WHAT'S THIS!?

SERVLET vs SPRING

  • -

 

 

 

https://www.educba.com/servlet-architecture/

  • Servlet
    •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필요한 인터페이스
    • 웹 프로그래밍에서의 역사
      • 처음에는 정적 데이터만 전달할 수 있었다.(사용자에 따라 공통된 페이지 반환)
      • 동적 데이터를 처리하기를 원하면서 CGI가 등장한다.
        • CGI(Common Gate Interface)
          • 문제
            •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프로세스를 만든다.
              • 프로세스: 메모리에 적재된 실행 중인 프로그램 인스턴스
            • 같은 구현체를 사용해도 요청이 다르다면 개별로 구현체가 생성된다.
            • =>그 결과, 싱글톤 패턴으로 바뀌게 되면서 서블릿이 등장한다.
    • 메서드(서블릿 컨테이너 호출)
      • init: 서블릿 인스턴스를 생성한다.
      • service: 실제 기능이 구행되는 곳
        • doGet(), doPost()
      • destory(): 컨테이너가 종료될 때 서블릿 인스턴스를 없앤다.

https://www.tutorialspoint.com/spring/spring_web_mvc_framework.html

  • Spring(Web MVC)
    • 서블릿으로 MVC패턴을 사용하여 웹서비스를 만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  모듈
    • 스프링이 서블릿을 사용하는 방법
      • Dispatcher Servlet

'공부 > WHAT'S THIS!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IM  (0) 2024.05.21
API vs LIBRARY vs FRAMEWORK  (0) 2024.01.30
WEB SOCKET  (0) 2024.01.27
Redis  (0) 2024.01.26
SPRING vs SPRING BOOT  (0) 2024.01.25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